이미지를 더블클릭해 더 알아보세요. Double-click the images to find out more.
Aboutclose_button

힌터랜드 세계관을 기반으로 우리가 전하는 두 번째 이야기는 ‘생태적 배후지’에서 시작한다. 앞서 《힌터랜드》에서 정의하듯이, 우리가 고안하는 배후지는 “실재하는 특정 지역이라기보다는 상징적 공간[으로], 당대 현대 자본주의의 근본 모순이 고이는 곳”이다. 힌터랜드 세계관은 해수면 상승으로 육지가 10% 밖에 남게 되지 않는 극한의 기후 변화 속에서, 인류를 지탱하는 사회, 경제, 정치적 체계가 수천 개의 탈중앙화 자율 집단(DAO)으로 이뤄진 오픈 메타버스로 옮겨가는 설정을 제시한다. 우리는 근미래인지, 더 먼 미래에서 되돌아보는 과거인지 모를 부정확한 시제에서 인간 사회의 재조직화를 그려보는 것으로 첫 발걸음 뗐었다. 그렇다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의 부상, 웹3.0을 향한 기술사회의 흐름에 대한 논의에서 생태적 배후지는 무엇이고 어떤 관점을 보충할 수 있을까?

23세기 우리는 “실재”하는 삶이 물속에 잠겨버린 나머지 가상 차원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는 더욱 비물질적으로 변해가는 기술뿐만 아니라 그 기술을 가동하는 노동과 자원의 비가시화를 암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뿌연 미세먼지로 휩싸인 도시에서의 출퇴근길, 수십 년 동안 잘못 보관되었던 연료 보관시설의 석유 유출로 오염된 수돗물, 데이터센터 화재로 사용이 일시적으로 불가능해진 앱 등은 우리가 기술 사회와 자본주의의 물질성을 체감하도록 한다. 우리가 얽매여 있는 범위에서 한 폭 확대하거나 축소해서 바라보면 생물로서의 비인간 주체들뿐만 아니라 사물, 기술, 비유기체 간의 끊임없는 상호 작용으로 순회하는 생태계가 드러난다. 우리가 매일 같이 사용하는 휴대폰만 보아도 매끈한 외피 내부에는 우리가 사는 곳과는 멀고도 고립된 지역에서 채굴한 심원한 시간의 광물이 있다. 그리고 그것은 정제, 가공, 제조 과정의 노동력을 거치고, 사용자의 손에 잠깐 쥐어졌다 결국 서랍 구석 어딘가, 혹은 외딴 지역의 전자 폐기물 산더미의 일부가 되어 땅으로 돌아간다. 우리는 이런 거시적이거나 미시적인 관점을 유도하는 현장과 현상들을 ‘생태적 배후지’라는 느슨한 키워드로 엮어보며 우리가 향할 수 있는 새로운 맵을 개척 해 본다.

이번 이야기에서 참여작가 이은솔, 앨리스 유안 장, 그리고 티아레 리보우와 친친 이는 21세기와 23세기 사이를 넘나 들며 현 사회를 통치하는 플랫폼 경제, 파편화된 노동, 중앙집권적 정치의 배후지에서 출발해 또 다른 시간의 갈래들을 펼쳐 본다. 이은솔의 〈Cephalopod with Shell〉는 현재 디지털 산업이 기반으로 두는 심해 채굴 현장의 생태계에 주목하고 주변 환경을 괴상한 형체로 변모하는 AR 필터를 건넨다. 3D 조각과 오디오를 접목한 AR 작품인 앨리스 유안 장의 〈Diatom Radio Network〉는 23세기 내륙의 테크 기업이 통치하는 통신망에 개입하거나 우회할 수 있는 대안적인 언어와 통신 네트워크를 모색한다. 티아레 리보우와 친친 이는 미래의 폴리네시아 항해용 카누 〈Wa‘a Maha Mua〉를 디자인해 23세기 섬 국가들을 항해하며 박탈당했던 주권을 되찾는 오세아니아인과 파시피카 민족의 삶을 중심으로 서사를 구축한다.

우리의 이야기는 웹사이트의 메인 페이지에 게재된 일종의 ‘이미지 맵’을 통해 전개한다. 거기 21세기 지구에서 찾아볼 수 있는 배후지의 모습을 미래에서 회상한 단상들과 23세기 배후지의 생태계를 함께 나열 되어있다. AR 기술의 특징처럼, 우리가 존재하는 시공간에 가상의 풍경을 “투영”하거나 “중첩”하는 시도이다. 이미지 맵 오른편에 있는 ‘인덱스’의 키워드와 짧은 문장들을 단서로 활용해 페이지를 새로 고침 할 때마다 재배열되는 《힌터랜드 두 번째 이야기》를 경험해 보길 바란다.

- 화석연료에 더 이상 의존하지 못하는 상황이 오면, 인류는 정말 우주에 수억 개의 인터넷 위성을 하늘로 쏘아 올려 지구 전체를 대체할 수 있을 만큼 방대한 규모의 메타버스로 사회를 재구축하고, 해양으로 추방된 이들은 풍력, 파력, 태양열 발전 등 대체 연료에 의존하며 살게 될까?
- 기술 발전으로 점점 비물질적으로 변해가는 삶을 실체적인 것으로 이해해 볼 수 있을까?
- 우리에게 주어진 재료들로 우리가 상상하는 미래를 구현하고 있는 걸까, 지구의 광물이 우리를 통해 제모습을 찾아가는 걸까?
- 21세기 착취적 자본주의를 공급한 구역들은 100 년, 200 년 후 어떤 풍경으로 변해 있을까?

Based on the Hinterland Universe, our second story begins in the ‘ecological hinterlands.’ As we previously defined in Hinterland, “rather than a specific physical place, the hinterlands [we are concerned with is] a theoretical territory where the paradox of contemporary capitalism stagnates.” The Hinterland Universe presents a world where, due to the extreme climate change that leaves only 10% of the land above sea-level,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infrastructures of humanity migrate onto an open metaverse consisting of thousands of decentralized autonomous groups (DAOs). Whether a speculation on the near future from the present or on the past from a more distant future, we initially took the liberties offered by this ambiguous timeline to imagine a reorganization of society. So then, what does ecological hinterlands signify, and what perspectives does it supplement in our discussion of the technological society where we are witnessing the rise of cryptocurrency and blockchain, and noise around Web3?

When our “material” life has submerged by the 23rd century, we turn to the virtual dimension, implying the further immaterialization of not only the technological medium itself but the labor and resources that it operates upon. Nevertheless, daily commutes in a city swept in fine dust particles, drinking water contaminated by an oil spill due to decades of the mismanagement of a fuel storage facility, and temporarily inaccessible apps as a result of a data center fire makes capitalism and its technological society ever more tangible. By zooming in and out of the immediate surrounding that we are entangled within, we are able to see an ecosystem that is sustained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living” objects, technologies, non-organic organisms, and non-human agents. Just take a look at the phone we use every day. There exists rare earths of deep time mined from an area isolated from our where we reside. The mineral then passes along the labor force, refined, processed, and manufactured before being held briefly in the user's hand. Its final destination is somewhere in the corner of a drawer, or it returns to earth as part of a mountain of e-waste on some remote territory. Under the keyword ‘ecological hinterlands,’ we loosely weave together sites and happenings that help us procure thes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s in our journey to unlock new maps.

In this story, participating artists Eunsol Lee, Alice Yuan Zhang, and Tiare Ribeaux & Qianqian Ye shift between the 21st and 23rd centuries, branching into other possible timelines that constitute the hinterlands of the platform economy, labor fragmentation, and centralized politics of today's society. Eunsol Lee’s Cephalopod with Shell focuses on the deep-sea mining ecosystem on which the current digital industry is based, and presents an AR filter that disfigures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into bizarre textures. Alice Yuan Zhang’s Diatom Radio Network, an AR sculpture with audio, explores alternative languages and communication networks that intervene in or circumvent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ruled by the 23rd century inland tech corporations. Tiare Ribeaux & Qianqian Ye design a Polynesian sailing wa’a (a.k.a. canoe) of the future, Wa'a Maha Mua, and construct a narrative around the lives of the Oceanian and Pasifika peoples who navigate and protect the island nations of the 23rd century after reclaiming their sovereignty.

Our story unfolds on the main page of the website in the form of an ‘image map.’ There, images of Earth’s hinterlands that can be found today are presented alongside sketches ruminating on the future. Much like how we experience AR technology, this is an attempt to “overlay” or “project” a virtual landscape upon the space and time we currently exist in. Use the ‘index,’ a list of keywords or clues, on the right side of the image map as you navigate Hinterland Vol. 2–a story that rearranges every time you refresh the page.

- If the situation arises, where we can no longer depend on fossil fuels, will people really launch millions of internet satellites into space, rebuild society on a metaverse that is vast enough to replace the entire planet, and live on alternative energy such as wind, wave and solar power?Can we understand life, which is gradually becoming more and more immaterial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with something tangible?
- Can we understand life, which is gradually becoming more and more immaterial with developments in technology, with something tangible?
- Are we realizing a future we can imagine with the materials we have, or are the rare earth minerals realizing their true form through us?
- What will the landscapes that fueled the extractive capitalism of the 21st century look like in 100 or 200 years?

☁★☄☉☙☁★☄☉☙☁★☄☉☙☁★☄☉☙☁★☄☉☙☁★☄☉☙

전시명: 힌터랜드 두 번째 이야기
Exhibition Title: Hinterland Vol.2

참여작가: 이은솔, 티아레 리보우 & 친친 이, 앨리스 유안 장
Participating Artists: Eunsol Lee, Tiare Ribeaux & Qianqian Ye, Alice Yuan Zhang

주제 자문가: 심효원
Research Advisor: Hyowon Shim

주최,주관: PACK
Organized by: PACK

그래픽 디자인 및 웹 개발: y!
Graphic Design & Web Development: y!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온라인 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Sponsor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RKO, Online Media Arts Support Fund



2022년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아트 체인지업’ 선정
Official Selection for the 2022 Online Media Arts Fund ‘Art Change UP’

close_button



close_button

Artistsclose_button

앨리스 유안 장 Alice Yuan Zhang
profile

Photo credit: Tara Violet Niami

앨리스 유안 장 张元(중국 다롄 출생)은 로스앤젤레스와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미디어 작가, 문화 기획자, 1세대 이민자다. 그녀의 초학제적 작업은 순환적이고 세대 간 시간을 따른다. 식민주의적 상상력을 넘어 그녀는 조상 전래적 기억, 종간 교육학, 네트워크화된 연대에 대한 협업적인 실험들을 통해 기술을 땅으로 가져오길 시도한다.
Alice Yuan Zhang 张元 (b. Dalian, China) is a media artist, cultural organizer, and first-generation immigrant living between Los Angeles and Berlin. Her transdisciplinary practice operates on cyclical and intergenerational time. Beyond colonialist imagination, she works to bring technology down to earth through collective experiments in ancestral remembering, interspecies pedagogy, and networked solidarity.

☇ website
☇ are.na
☇ twitter @aliceyuanzhang
☇ instagram @aliceyuanzhang
☇ email: aliceyuanzhang@riseup.net

../../static/images/artist1_2.png

Anatomy of an Intergenerational Router (2022). WebGL 3D installation with sound.

../../static/images/artist1_3.png

Remembering Our Roots (2021). Augmented reality audiovisual narrative experience.

../../static/images/artist1_4.png

Open Garden (2021). Durational participatory performance livestreamed using a solar-powered Raspberry Pi and P2P-hosted website through Beaker.

티아레 리보우 & 친친 이 Tiare Ribeaux & Qianqian Ye
profile

친친 이는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작업하는 중국 작가이자 크리에이티브 기술자 및 교육자다. 건축 공부를 한 그녀는 디지털, 물리적, 그리고 사회적 공간을 구축해 성별, 이민, 권력, 그리고 기술을 둘러싼 이슈들을 탐구한다. 그녀의 최근 협업 프로젝트 〈The Future of Memory〉(2019~ )는 Mozilla Creative Media Award를 수상했다. 그녀는 현재 Processing Foundation에서 p5.js의 담당자이며, USC Media Arts + Practice의 겸임 조교수로 크리에이티브 코딩을, Parsons School of Design에서는 3D 예술을 가르치고 있다. 그녀는 2022년도 NYU ITP/IMA 프로젝트 펠로우이자 USC Annenberg Innovation Lab의 Civic Media 펠로우이다.

Qianqian (Q) Ye is a Chinese artist, creative technologist and educator based in Los Angeles. Trained as an architect, she creates digital, physical, and social spaces to explore issues around gender, immigration, power, and technology. Ye’s recent collaborative project *The Future of Memory* (2019~) received the Mozilla Creative Media Award. She is currently the Lead of p5.js at the Processing Foundation; an Adjunct Assistant Professor at USC Media Arts + Practice; and teaches 3D Arts at Parsons School of Design. She is a 2022 ITP/IMA Project Fellow at NYU and 2022 Civic Media Fellow at USC Annenberg Innovation Lab.

☇ website
☇ twitter @4444ian
☇ instagram @44ian
☇ email: qianqian.ye44@gmail.com

../../static/images/artist2_1.png

(Screenshot of VR scene) A.A.G (2021). VR sculpture with sound. 10 mins.

../../static/images/artist2_2.png

Volcanic extremophiles (2022). 3D sculpture.

../../static/images/artist2_3.png

(Still) Nakili (2021). AR sculpture with sound.


profile

티아레 리보우는 호놀룰루와 오클랜드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카나카 오이뷔계 영화 제작자, 작가,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이다. 그녀의 몰입형 및 확장된 미디어 작업은 영성, 노동, 그리고 자연환경에 대한 마술적 사실주의 탐구이며, 사회적 및 생태적 불균형을 비판하기 위해 꿈 세계와 하와이 우주론을 참고한다. 그녀의 영화는 공상 과학과 판타지를 활용해 우리의 현재와 혈통, 장소 및 소속의 미래를 새롭게 상상한다. 그녀는 2014년에 갤러리 B4BEL4B를 설립했다. 리보우는 Sundance Native Lab Fellowship and Interdisciplinary Program Grant, Zellerbach 재단, Center for Cultural Innovation 등 다수의 기금과 상을 받았다.

Tiare Ribeaux is a Kanaka 'Ōiwi filmmaker, writer and creative producer based between Honolulu and Oakland. Her immersive and expanded media work involves a magical realist exploration of spirituality, lab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drawing upon the structure of dreamworlds and Hawaiian cosmology to critique both social and ecological imbalances. Her films incorporate science fiction and fantasy to reimagine both our present realities and future trajectories of lineage, place and belonging. She founded [B4BEL4B](https://www.b4bel4b.com/) Gallery in 2014. Ribeaux has won numerous grants and awards from the Sundance Native Lab Fellowship and Interdisciplinary Program Grant, the Zellerbach Family Foundation, and the Center for Cultural Innovation, among many other.

☇ website

☇ instagram @atiareribeaux
☇ email: Tiarenoelle@gmail.com

../../static/images/artist3_1.png

Pō’ele Wai (2022). Short film, 19:35 min. World Premiere at the Hawai’i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tatic/images/artist3_2.png

Cyanovisions (2020). Short film, 15:04 min. World Premiere at Imagine Science Film Festival.

../../static/images/artist3_3.png

(Still from Digital Gallery) Pele and Plastiglomerate (2020). 2-Channel video installation. 10 mins.

이은솔 Eunsol Lee
profile

이은솔은 디지털 네트워크에 킴벌리 리(Kimberly Lee)라는 가상 캐릭터를 만들어 그를 유지하고 보수한다. 작가는 개별 기업들의 온라인 경제 활동들이 얽혀 하나의 거대한 프로세스를 형성하는 디지털 가치 시스템 안에서 디지털 객체의 존재가치를 탐구한다. 동시에, 다양한 플랫폼과 미래의 거주지를 연구하며 네트워크 내 킴벌리의 생존을 위한 거주환경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킴벌리 리 라는 이름은 2017년 작가의 인스타그램을 해킹한 누군가가 Kimberly로 계정의 이름을 바꾸어 놓은 것을 작가가 1년가량 눈치채지 못한 채 지냈던 경험에서 가져왔다. 이는 작가의 삶 속 가상 정체성의 개입을 의미하며, 작가는 다른 아바타 계정 관리자들처럼 킴벌리의 삶의 관리함으로써 가상정체성을 지속시키는 구조적 틀에 집중하고자 한다.
Eunsol Lee created and continues to sustain the life of Kimberly Lee, a virtual character. Lee is interested in the ontology of digital objects within a monolithic digital value system informed by the online economic activities of corporations. She also researches various platforms and spaces of the future, planning and cultivating a place for Kimberly’s survival in the digital network. The name Kimberly Lee originates from a hacking incident in 2017 when someone renamed the artist’s Instagram account to Kimberly and went unnoticed for a year. Kimberly is a representation of a virtual presence that directly intervenes the artist's life, and, like other avatar account managers, Lee attends to Kimberly’s existence as a way to further explore structural frameworks that sustain virtual identities.


☇ instagram @kimberlyleee_
☇ email: hackkimhack@gmail.com

../../static/images/artist4_1.png

Firefly (2021). Single-channel video (Unity) with sound. 8min 30secs.

../../static/images/artist4_2.png

Kimberly & Friends (2022). Single channel video (Unity) with sound. 9min 40secs.

../../static/images/artist4_3.png

Midnight Sun Daze (2022). Two-channel video (Unity) with sound, and aurora sous vide machine. 9 mins.

nifenifenifenife
nifenife

Tiare Ribeaux & Qianqian Ye, "Wa‘a Maha Mua" (2022). AR.

Alice Yuan Zhang, "Diatom Radio Network" (2022). AR.

Eunsol Lee, "Cephalopod with Shell" (2022). AR.

Interview with Hyowon Shim

이끼 테라리움
Moss Terrarium

떠다니는 검은 흙더미
Floating black mounds

슬러그 광물의 기원
Metal Slug

플라스틱 해변
Plastic Beach

땅에 새겨진 문신
Tattooed Land

고요한 심해저
The Calm Deep Sea

백화바다 지역 리서치 #1
White Sea Territory Research #1

백화바다 지역 리서치 #2
White Sea Area Research #2

백화바다 지역 리서치 #3
White Sea Territory Research #3

백화바다 지역 리서치 #4
White Sea Territory Research #4

백화바다 지역 리서치 #5
White Sea Territory Research #5

검은 눈물
Black Tears

바다 섬광
Sea Sparkles

변동하는 전기 요금
Fluctuating Electricity Prices

환경 보호의 역설 #1
The Conservation Paradox #1

환경 보호의 역설 #2
The Conservation Paradox #2

국제 종자 저장고
Global Seed Vault

기후 보험
Climate Insurance

디지털 레드라이닝
Digital redlining

독성 호수
Toxic Lake

지상화
Geoglyphs

보물섬
Treasure Island

더 라인
The Line

철 박스
Metal Box

석유 굴착기
Oil Rigs

룸붕
Lumbung

농부 대 목축업자
Farmers v. Herders

핵폐기물 무덤
Nuclear Waste Tombs

쓰레기 섬
GPGP

땅 위 별?
Stars on the Ground?

토지매물
Land for Sale

거대한 방조제
The Great Seawall

항생제 내성
Antibiotic Resistance

방사능 바다
Radioactive Sea

움직이는 망간단괴 미스테리
The Mystery of the Moving Manganese Nodules

죽은 바다
Dead Ocean Zone

조류 배터리
Algae Batteries

폐허 포르노
Ruin porn

대형 선박의 유해 물질
Toxic Substances from Sea Vessels

침몰선 생태계
Shipwreck Ecosystems

허리케인 피하기
Escaping Hurricanes

산호 엑소 슈트
Coral EXO suit

오프그리드 디지털 라이프
Off-grid Digital Life

해적들이 돌아온다!
Pirates make a comeback!

해조류 마을
Algae Village

리모라 플라이
Remora Fly

거대 산호 암석지대 서울
Large Coral-Rock Formations Seoul

nife